개요
Ki-84 하야테는 대일본제국 육군항공대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운용하던 제공 전투기이다.
상세
제로센과 Ki-43 하야부사가 노후화되고 구식이 된 대전 중후반기, 나카지마 비행기는 하야부사와 쇼키를 대체할 차세대 항공기를 개발하였다. 그렇게 하여 탄생한게 Ki-84 하야테이다. 하야테는 Ki-44 쇼키보단 Ki-43 하야부사를 더 많이 계승해 붐앤줌보단 저속 기동성을 중시했고, 2000마력급 나카지마 Ha-45엔진을 탑재해 제로센, 하야부사에 비해 2배로 강력한 출력을 냈고, 甲형의 경우제로센, 하야부사보다 더 강력한 12.7mm 기관포 2정, 20mm 기관포 2문을 장착, 乙형의 경우 20mm 기관포 2문, 30mm 기관포 2문을 장착했으며, 역대의 일본제 항공기와 달리 전금속재였고 방탄유리, 콕핏 방탄판, 자동방루탱크까지 장착되었지만 2000마력 엔진의 출력이 남아돌았기에 아직도 높은 상승력과 기동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2000마력의나카지마 Ha-45 엔진은 불량률이 너무 높고 신뢰성도 전세대의 나카지마 사카에보다 훨씬 못해서 신뢰성 면에선 그닥 못했다.
장점
높은 상승력
Ki-84 하야테의 2000마력 엔진이 제공하는 강력한 힘은 엄청난 상승력을 낼수 있게 했으며, 상승각 20도에서 300km/h 이상의 속도를 낼수 있었다. Ki-84는 전금속재이지만 장갑판이 콕핏을 제외하면 설치되지 않았기에 일본기 치고는 방어력이 좋았지만 아직도 매우 가벼워서 상승력이 좋았다.
높은 기동성
Ki-84 하야테는 기동력이 매우 좋아서 미국의 모든 항공기를 기동력으로 압도할수 있었다.
긴 항속거리
Ki-84 하야테는 장거리 폭격기의 호위기로 개발되어 엄청나게 긴 항속거리, 연비를 가진 P-51 머스탱의 H형에 필적하는 긴 항속거리를 보유했다.
강력한 화력
Ki-84는 甲형이 기수에 12.7mm 중기관총 2정, 주익에 20mm 기관포 2문이 장착되어 일본군 항공기, 특히 육군항공대 기체의 고질적인 문제인 떨어지는 화력을 보완했다. 또한 乙형에선 20mm 2문, 30mm 2문이 장착되어 화력은 미군기들보다 훨씬 강해져, 하야테의 화력, 특히 을형의 화력은 F6F같은 중장갑 전투기들도 버텨낼수 없었다.
일본기 치곤 좋은 방호력
Ki-84는 과거 일본기들과 달리 최소한의 방호력을 갖췄다. 우선 Ki-84는 과거 일본기와 달리 전금속재여서 소이탄을 맞아도 불이 잘 붙지 않으며, 자동 방루탱크, 방탄 캐노피, 콕핏 방탄판이 적용되어 조종사를 보호하는 충분한 방어력을 고기동성 항공기에 제공하였다.
단점
심한 고속 굳음
하야테의 고속굳음은 480km/h부터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어서 일본군 조종사들이 조작하기 힘들어했다.
부족한 방어력
Ki-84는 아무리 튼튼하게 만들었다지만 도그파이터이기에 충분한 장갑판을 달수 없었으며, 미군기에 비해 여전히 방어력이 떨어져 미군기 수준의 방어력을 기대할수 없었다.
심각한 신뢰성
Ki-84의 복렬 18기통 나카지마 Ha-45 엔진은 2000마력을 낼수 있는대신 불량율이 매우 높고 신뢰성이 떨어졌다. 정상적으로 생산된 엔진은 정상적인 성능을 보여줬지만, 불량품 엔진들 중에선 마치 신뢰성으로 악명높은 소련제 클리모프 엔진처럼 선회만 돌아도 퍼질 정도의 불량품까지 있었다. Ha-45같은 2000마력급 엔진은 미국, 유럽에서도 신뢰성, 불량율 확보를 포기한 엔진인데, 일본의 떨어지는 공업력으로는 이정도의 엔진을 안정적으로 찍어내기 힘들었으며, 특히 대전 후반에 폭격으로 공업력이 저해되면서 신뢰성, 불량율 확보는 더더욱 힘들어져 파일럿들이 하야테 탑승을 두려워했을 정도이다.
높은 착륙 난이도
Ki-84는 토크가 높아 착륙이 힘들어 같은 2000마력급인 F6F, F4U처럼 비전투손실율이 높았다.
결론
Ki-84 하야테는 신뢰성을 제외하면 당시엔 F-22 랩터급의 제공 특화 전투기였다. F-22조차도 신뢰성으론 좋은 평을 못 듣는다. 하지만 미국은 예산이 많으며, 일본은 돈이 적었고 공업력도 부족했기에 Ki-84의 부족한 신뢰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Ki-84는 엔진 출력이 높아 조종사를 충분히 보호할수 있었기에 일본 제국 항공기로서는 의미가 컸던 항공기이다. 일본 제국이 인적 자원을 소중히 여겼다면 미국과 전쟁해서 훨씬 더 길게 버텼을수도 있었다는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따라서 하야테라는 슈퍼프롭기를 신뢰성으로 그저 까는 태도는 적합하지 않으며 역사적 의의를 따져 평가하는게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