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 Wächter der Wahrheit, des Fairness und der Menschenwürde.
진실, 공정, 인간 존엄성을 위한 파수꾼

獨逸語
독일어: Deutsche Sprache, Deutsch

개요

독일어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중부유럽을 중심으로 통용된다. 따라서 중부유럽을 독일어권 지역이라고 부른다.

독일어는 학술어로서 그 중요성이 크며 세계 출판업계에서 영어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모국어로서의 사용자수는 약 1억 2천만 명으로 세계 10위 수준이며, 유럽 연합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모국어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전 세계에서 제2언어로 배우는 사용자의 수가 영어, 스페인어, 그리고 프랑스어 다음으로 많아, 세계의 주요언어 중 하나로 여겨진다.[1]

독일어는 서게르만어계의 언어이며,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일부이다. 참고로 독일어와 영어는 같은 계통인 게르만어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서로 다른 발달 과정을 겪어왔다. 영어는 네덜란드어 문법에 프랑스어 어휘를 섞으면 영어가 된다는 농담조의 격언이 있을 정도로 로망스어와 그리스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하고 유지했다. 이에 비해 독일어는 게르만어 고유의 특성이 강하다.

사용 현황

1538px-Legal_status_of_German_in_Europe.svg.png

1599px-German-Language-Flag.svg.png
독일어의 대표적 사용국인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어는 중서부 유럽에서 모국어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유럽 연합의 공용어이자 공식 실무 언어이기도 하다.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의 국어이며, 스위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루마니아에서 공용어로 사용하고 아프리카 서부 나미비아에서도 공인지역어로 독일어를 채택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남티롤(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 프랑스의 알자스로렌 등 서유럽 지역 뿐만 아니라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국가들의 국민들은 특히 중장년층의 경우 제2외국어로 독일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독일 지역에서 이주한 독일 민족의 순수 혈통인 후손 600만 명이 있는데 이들은 독일어를 구사할 줄 알거나 영어와 혼합한 특수한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다. 미국에서 독일인 이민자들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네덜란드, 벨기에, 덴마크, 스웨덴 등 독일어권 민족과 가장 밀접한 게르만족 혼혈 인구를 모두 합하면 1,550만 명이 있으며 캐나다에도 330만 명이 있는데 이들은 영어와 혼합한 특수한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다. 게르만계 미국인 중 모든 게르만족의 일파를 포함하면 영국인과 아일랜드인도 포함되므로 4,500만 명에 이르며 미국 인구의 13.6%에 해당한다.

19세기에 독일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에서 남아메리카로 이주했던 사람들의 후손이 사는 아르헨티나, 브라질(특히 히우그란지두술주, 산타카타리나주, 파라나 주, 이스피리투산투주)에 소수의 독일어 사용자가 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소련 당국에 의해 강제로 이주당한 독일인들의 후손들이 사는 러시아카자흐스탄 등에도 소수의 독일어 사용자가 있다.

독일은 1871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을 이룬 뒤에 독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한 빌헬름 1세의 팽창 정책으로 인해 뒤늦게 절대다수의 식민지를 개척했다. 이 때 독일어는 카메룬, 부룬디, 나미비아, 탄자니아, 르완다아프리카 국가와 파푸아뉴기니,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사모아, 팔라우오세아니아 국가에 전파됐다. 그러나 독일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결과, 모든 해외 식민지를 잃으면서 짧은 점령 기간 탓에 독일어를 쓰는 식민지는 줄어들었다.

반대로 벨기에의 경우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독일 라인 지방의 작은 땅을 할양받으면서 독일어가 공용어로 추가 지정되었다. 루마니아의 경우는 소련에 강제 점령된 이후 1989년까지 한동안 독일어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와 소련의 붕괴 덕분에 독일어 사용이 합법화되었으며, 최근에는 독일어가 루마니아의 지방 언어로 지정되었다.

특징

  • 복합어

독일어는 단어를 서로 연결하여 복합어를 대거 만들 수 있는게 특징이다. 마르틴 루터가 처음 고안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에 독일어가 복합어적인 성격이 강한 쪽으로 발전해왔다. 물론 이는 라틴어고대 그리스어는 물론 영어도 공유하는 특징이나 독일어가 유독 튀어보이는 이유는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그리스-라틴계 어휘를 대체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전의 언어들처럼 조어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헤겔은 이러한 조어력을 극단으로 밀쳐올린 철학자중 한 명이다. 복합어는 -en, -s등이 많이 보이는데 전자는 복수형이고 후자는 2격(속격) 어미이다.

  • 언어 순화, 고유어

독일어는 게르만어계 어휘를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게르만어도 인도유럽어족에 속하기 때문에 라틴어그리스어와 같은 계통인데 고유어는 어불성설이 아닌가 비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의 복합어를 이용해서 기존의 라틴-그리스 계통 어휘들을 독일어로 대체하는 경향이 강하기때문에 독자성이 강한 편이다. 예컨대 사회를 번역할 때 유럽의 대다수는 라틴어 soci-에서 파생된 어휘를 쓰지만 독일어는 Gesellschaft(사회)를 쓰는게 대표적. 다만 Sozialismus같은 경우 라틴어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양층언어적인 특징은 독일어를 오히려 풍부하게 만든다. 하지만 고대 로마나 고대 그리스의 문화력과 영향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서 Körper(몸)과 같이 고유어를 대체해버린 사례가 있다. -ieren동사군, -ismus명사군도 마찬가지. 요새는 영어가 이러한 역할을 하는 추세다.

독일어의 우수성

독일어는 형태론에 따른 언어 유형의 분류 시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 포합어(집합어) 모두의 장점을 지닌 가장 균형 잡히고 다재다능한 언어이다. 또한 독일어 단어는 그 체계상 가장 학문적인 의미 전달력과 전파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학술적으로 우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독일어 단어의 경우 유럽 언어들 중에서는 특이하고 이질적으로 일본어, 한국어 단어들과 상당히 유사한 한자식 단어 구조 체계를 사용하는데 이는 동아시아어로 치면 한자는 없는 대신 한자의 의미를 굴절시켜 단어를 독일어 특유의 고립어식 체계로 정립하고 배열한 단어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독일어 원어민들은 긴 학술단어나 전문용어도 일반인들이 그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독일어에서는 한자 단어들을 외우거나 한자 하나하나를 일일히 외우게 할 필요도 없이 전문단어 이해가 쉽게 가능하다는 것에서 그 의미전달의 효율성과 명확함 측면에서 본격적인 진가를 발휘한다.

이러한 독일어의 우수성은 독일이 근대 시대부터 대영제국, 미합중국, 러시아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과 영토, 인구를 가지고도 발휘한 놀라운 저력과 20세기 초 여러 차례 세계 최강대국이 되기도 했던 경이로운 저력의 가장 핵심적인 원천들 중 하나가 되었다.

음악 분야에서는 발음 등이 딱딱한 인상이 있어서 이탈리아어에 비해 비교적 덜 사용되었다. 물론 지금은 독일어도 클래식 음악을 배우는 데 매우 중요한 언어이다.

독일어는 군사, 법, 학술, 음악 등을 심도 있게 배우려면 반드시 배워야 하는 매우 중요한 언어이다.

독일어는 학술어로서 그 중요성이 크며 세계 출판업계에서 영어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라틴어와의 비교

라틴어는 가장 위대한 굴절어로서 그 도치의 자유성이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라틴어의 어순은 고립어인 영어와 교착어인 한국어보다 훨씬 자유로운데 타 언어들에서 불가능한 도치도 쓸 수 있으며 실제로도 도치가 자유롭게 쓰인다.

라틴어에서 명사는 쓰임(격)에 따라 변화하는 데다가 명사를 수식하는 단어들 또한 그 명사의 변화 형태를 따라가므로 문장 안 단어들을 무작위로 섞어도 문제가 없으며, 라틴어로 된 많은 글에서 영어나 한국어 어순에서는 말도 안 되는 단어 배열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사실상 어순이 없다고 봐도 될 정도인데 이것은 격변화와 동사활용의 존재 덕분에 단어를 섞어놔도 의미는 유지되기 때문이다.[2]

라틴어와 독일어는 유럽 최초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로마 제국 시대부터 각각 전반기와 후반기를 좌지우지한 로마인과 게르만인의 언어였으며, 각각 유럽 언어의 어머니이며 아버지 격이다.

계통

  • 인도유럽어족
    • 게르만어파
      • 서게르만어군
        • 독일어

각주

  1. George Weber: “Top Languages: The World's 10 Most Influential Languages” in Language Today (Vol. 2, Dec 1997)
  2. 대신 단어의 위치가 앞이나 뒤에 위치하면 강조하는 의미가 강하고 중앙으로 갈수록 그 강조가 옅어진다. 키케로는 이러한 라틴어의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린 인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