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남위키 네모.png 우남위키는 자유민주주의, 공정한 세계시장 그리고 북한해방을 지향합니다.
진실, 공정, 인간 존엄성을 위한 파수꾼 (真実、公正、人間の尊厳のための番人, a watchman for truth, fairness, and human dignity.)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부국강병 박정희와 경제성장을 이끈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그리고 반국가 세럭과 부정선거 카르텔을 밝히려 했던 윤석열 대통령, 이들은 대한민국의 진정한 영웅입니다.

도리아 그리스어: Σπάρτα
아티케 그리스어: Σπάρτη(스파르테)

1. 개요

스파르타는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로,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부의 에우로타스 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었다. 강력한 군국주의를 바탕으로 유지된 국가이다.

아테네와 더불어 폴리스 중에서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제일 유명하다.


남자들은 어렸을 때 신체가 약하면 절벽에 버리고, 노인이 될 때까지 군인으로 가혹하게 길러 지며 그런 생활이 강제된다.(아고게 )


자유인 남자는 거의 군인이고, 경제는 다수의 노예에 의해 유지되는 식이었는데, 그래서 항상 다수 노예의 반란을 걱정해야 하는 위치였고,


패권을 가졌던 아테네 연합과의 전쟁에서 이겨서 패권국이 되었지만, 사회구조가 군인과 전쟁에 몰빵한 구조고 화폐도 가치가 없는 식초에 담근 막대기 같은 것을 화폐로 한다던지, 오로지 전쟁과 무력만으로는 수많은 폴리스를 아우르는 패권국을 장기간 유지할 수가 없었다.

게다가 가혹한 사회구조와 배타성으로 군인이 되어야 할 시민이 늘지 않고, 스파르타가 자랑하는 정예병도, 당대의 전술을 뒤집은 사선대형의 테베군에게 괴멸적인 타격을 입고 (레욱트라 전투). 이후 스파르타는 다시 전처럼 강력한 군대를 다시는 갖지 못하고 폐권도 잃어버린다.


현대에서는 빡세개 기르는 것 빡센 커리큘럼의 학원 같은 걸 비유적으로 스파르타식 교육(아고게)이라고 이야기 하곤 한다.

스파르타를 긍정적으로 다룬 미디어물로는 300이 유명하다.

스파르타와 비슷한 나라로는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진나라와 군국주의화 된 일본제국

현대국가로는 북한

(10년간의 의부 복무, 인구에서 상비군 비율이 세계에서 제알 높은 나라, 세계에서 gdp 대비 국방비 지출 비율이 높은 나라, 선군정치) 이 있다.




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