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영어: the Kingdom of Saudi Arabia<ref>사우디아라비아 왕국</ref>
영어: the Kingdom of Saudi Arabia<ref>사우디아라비아 왕국</ref>


=개요=
==개요==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아랍국가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아랍국가이다.


=지리=
 
[[북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체 아랍권 국가들 중에서는 [[알제리]]에 이어 두번째로 면적이 넓다. 북쪽으로 [[이라크]]와 [[요르단]], 북동쪽으로 [[쿠웨이트]], 동쪽으로 [[카타르]], [[바레인]], [[아랍에미리트]]와 국경을 접하고, 남쪽에는 [[예멘]]과 [[오만]]이 있다.
 
거의 전제 왕권국가이다. 국호인 사우디자체가 사우드 가의 나라라는 뜻이다. 혹자는 사우디 아라비아를 돈 많은 북한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산유국이며, 수니파의 거의 종주국 같은 나라이다.
 
 
 
이슬람교의 성지인 메카와 메디나가 나라에 있다.  
 
 
 
==위치==




==지리==
==지리==
{{꼬리표 시작|그림=아시아 clean.png |그림크기=300px }}
{{꼬리표 |x=5% |y=80% |노마크=@ |글크기=10pt |글내용=[[아프리카]] }}
{{꼬리표 |x=5% |y=27% |노마크=@ |글크기=10pt |글내용=[[유럽]] }}
{{꼬리표 |x=22% |y=53% |마크=red pog.png |마크크기=4px |글크기=8pt |글위치=좌 |글내용=[[사우디아라비아]]<br>([[리야드]]) }}
{{꼬리표 끝|설명 =}}
[[북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체 아랍권 국가들 중에서는 [[알제리]]에 이어 두번째로 면적이 넓다. 북쪽으로 [[이라크]]와 [[요르단]], 북동쪽으로 [[쿠웨이트]], 동쪽으로 [[카타르]], [[바레인]], [[아랍에미리트]]와 국경을 접하고, 남쪽에는 [[예멘]]과 [[오만]]이 있다.




==역사==
==역사==
{{빈문단}}원래는 그래도 여러가지 가문들이 각각 장관을 오랜 기간 독점 하고 파벌등이 존재해서 견제와 균형이 있었지만 빈살만이 이런 견제세력들을 싹다 리츠칼튼 호텔에 감금 시켰기에 빈살만을 왕세재 견제할 수 있는 세력이 전무한 상태.




==정치==
==정치==
전제왕권 국가다.  군주제 국가는 지금도 많지만 대부분이 입헌군주제로 군림은 하대 실질적인 권력은 총리등이 행사하지만, 사우디는 왕가가 결정하는 게 절대적이다. 법이 아닌 왕가의 말과 명령으로 정치가 굴러가는 구조다.




==대외 관계==
==대외 관계==
사우디아라비아는 수니파의 대표 종주국을 자임하고 있기에 수니파의 수장국인 이란과의 사이가 매우 안좋다. 얼마전에는 단교 까지 갔다가 다시 국교를 회복했을 정도. 아랍의 종주국 같은 지휘이기에 팔레스타인 문제등으로 이스라엘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이스라엘과도 대놓고 만나지는 않지만 비밀리에 만나서 관계개선을 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이란 혁명이후 이란과는 불구대천 원수인 것도 있고. 사우디 왕가는 친미적이었지만 바이든 정부와 빈살만간의 기자 살해 인권 문제 등으로 사이가 소원해 지기도 했다.




==경제==
==경제==
{{빈문단}}석유에 국부의 약 60프로 정도 의존하고 있다. 이것도 많이 준 것으로 그전에는 국가재정의 80프로를 석유수출에 의존했다.





2024년 5월 30일 (목) 11:08 기준 최신판


아랍어: السعودية
영어: the Kingdom of Saudi Arabia[2]

개요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아랍국가이다.


거의 전제 왕권국가이다. 국호인 사우디자체가 사우드 가의 나라라는 뜻이다. 혹자는 사우디 아라비아를 돈 많은 북한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산유국이며, 수니파의 거의 종주국 같은 나라이다.


이슬람교의 성지인 메카와 메디나가 이 나라에 있다.


위치

지리


북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체 아랍권 국가들 중에서는 알제리에 이어 두번째로 면적이 넓다. 북쪽으로 이라크요르단, 북동쪽으로 쿠웨이트, 동쪽으로 카타르, 바레인, 아랍에미리트와 국경을 접하고, 남쪽에는 예멘오만이 있다.


역사

편집중 아이콘.png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원래는 그래도 여러가지 가문들이 각각 장관을 오랜 기간 독점 하고 파벌등이 존재해서 견제와 균형이 있었지만 빈살만이 이런 견제세력들을 싹다 리츠칼튼 호텔에 감금 시켰기에 빈살만을 왕세재 견제할 수 있는 세력이 전무한 상태.


정치

전제왕권 국가다. 군주제 국가는 지금도 많지만 대부분이 입헌군주제로 군림은 하대 실질적인 권력은 총리등이 행사하지만, 사우디는 왕가가 결정하는 게 절대적이다. 법이 아닌 왕가의 말과 명령으로 정치가 굴러가는 구조다.


대외 관계

사우디아라비아는 수니파의 대표 종주국을 자임하고 있기에 수니파의 수장국인 이란과의 사이가 매우 안좋다. 얼마전에는 단교 까지 갔다가 다시 국교를 회복했을 정도. 아랍의 종주국 같은 지휘이기에 팔레스타인 문제등으로 이스라엘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이스라엘과도 대놓고 만나지는 않지만 비밀리에 만나서 관계개선을 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이란 혁명이후 이란과는 불구대천 원수인 것도 있고. 사우디 왕가는 친미적이었지만 바이든 정부와 빈살만간의 기자 살해 인권 문제 등으로 사이가 소원해 지기도 했다.


경제

편집중 아이콘.png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석유에 국부의 약 60프로 정도 의존하고 있다. 이것도 많이 준 것으로 그전에는 국가재정의 80프로를 석유수출에 의존했다.


함께보기

지구의 대륙
아시아 위치.png
아프리카 위치.png
북아메리카 위치.png
남아메리카 위치.png
유럽 위치.png
오세아니아 위치.png
남극 위치.png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남극
  1. 리야드, 자우프 주, 하일 주, 카심 주, 나지란 주, 동부 주, 북부 변경주의 영사업무를 관할한다.
  2. 사우디아라비아 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