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알림 빨강 |내용= 한강에 대해서 추가해시기 바랍니다,,,}} {{작가 정보 | 이름 = 한강 {{노벨상 딱지}} | 원어이름 =韓江<br> Kang | 그림=https://pimg.mk.co.kr/news/cms/202410/12/news-p.v1.20241012.9d6a227bcfd14ce2a1f325f6e3857077_P1.jpg | 그림설명 = 한강 작가 |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70|11|27}}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주시 | 사망일 = | 사망지 = | 국적 = 대...)
 
잔글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22번째 줄:
《[[소년이 온다]]》
《[[소년이 온다]]》


| 수상 = {{단순목록|
| 수상 = [[노벨 문학상]](2024)<br>
* [[노벨 문학상]](2024)
[[맨부커 국제상]](2016)
* [[맨부커 국제상]](2016)
 
}}
| 성별 = 여성
| 성별 = 여성
|학력= 광주효동국민학교 전학
[[풍문여자중학교]] 졸업<br>
[[풍문여자고등학교]] 졸업<br>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학사<br>
[[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
}}
}}


48번째 줄: 53번째 줄:


==비판==
==비판==
김규나 작가는 자신의 SNS에 노벨문학상 수상 의미라는 글에서 노벨 가치의 추락, 문학 위선의 증명, 그리고 역사 왜곡의 정당화"라며 한강 작가의 수상을 평가했다.
김규나 작가는 자신의 SNS에 노벨문학상 수상 의미라는 글에서 노벨 가치의 추락, 문학 위선의 증명, 그리고 역사 왜곡의 정당화"라며 한강 작가의 수상을 평가했다.<ref>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 최초의 여성 수상자라는데 비판을 해?라며 댓글테러, 마녀사냥이 일어날찌도 모르겠다.</ref>


{{그림|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01.38286627.1.jpg
{{그림|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01.38286627.1.jpg
56번째 줄: 61번째 줄:




==여담==
참고로 노벨 문학상 관련하여 언제나 후보 1순위로 꼽히는 일인 [[고은|고은 작가]]가 있었는데 이제 드디어 문학계에서는 숙원을 이루어졌다. 한국 여론 전체가 고은을 노벨상 후보로 꼽았고, 기대했다. '노벨 문학상을 받을 한국인이 누구이겠느냐' '노벨 문학상 심사가 열렸는데 한국인 중에서 누가 꼽히겠느냐' 하면 당연히 그를 떠올릴 정도였다. 그는 열 몇차례나 한국을 대표하는 노벨문학상 후보였다.





2024년 10월 12일 (토) 16:17 판

60px-Information icon4.svg.png
한강에 대해서 추가해시기 바랍니다,,,
깃털펜.png
한강 노벨상.png 
news-p.v1.20241012.9d6a227bcfd14ce2a1f325f6e3857077_P1.jpg
한강 작가
작가 정보
출생
1970년 11월 27일 (54세)
출생지
성별
여성
국적
학력
광주효동국민학교 전학

풍문여자중학교 졸업
풍문여자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
수상
부모
한승원(아버지)
주요 작품
웹사이트

한강(韓江, 1970년 11월 27일~)은 광주시 출신의 대한민국작가다.

노벨상 수상이라는 뉴스 속보로 처음 영상으로 접했을 때 화장끼 없는 모습이 수수하다기 보단 싸한 느낌이 들어 어느덧 대한민국이 문학상도 받나보다 였다. 아무리 세상과 단절된 생활을 한다 해도 적어도 뉴스 매체에 알려지고 인터뷰가 예상되면 최소한의 입술 화장이라도 하는 것이 예의일듯 싶다.


일생

1970년 광주광역시 중흥동에서 소설가 한승원의 딸로 태어났으며, 풍문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주요 작품으로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이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에 평화상까지 추가하면 두 번째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다.



비판

김규나 작가는 자신의 SNS에 노벨문학상 수상 의미라는 글에서 노벨 가치의 추락, 문학 위선의 증명, 그리고 역사 왜곡의 정당화"라며 한강 작가의 수상을 평가했다.[1]


01.38286627.1.jpg
김규나 작가의 한강 작가에 대한 비판글





여담

참고로 노벨 문학상 관련하여 언제나 후보 1순위로 꼽히는 일인 고은 작가가 있었는데 이제 드디어 문학계에서는 숙원을 이루어졌다. 한국 여론 전체가 고은을 노벨상 후보로 꼽았고, 기대했다. '노벨 문학상을 받을 한국인이 누구이겠느냐' '노벨 문학상 심사가 열렸는데 한국인 중에서 누가 꼽히겠느냐' 하면 당연히 그를 떠올릴 정도였다. 그는 열 몇차례나 한국을 대표하는 노벨문학상 후보였다.



각주

  1. 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 최초의 여성 수상자라는데 비판을 해?라며 댓글테러, 마녀사냥이 일어날찌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