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펴기 시작}}
{{펴기 시작}}
{{다단|5 }}
<Big><Big>
{{lang|ja|[[一|一]] [[丁|丁]] [[七|七]]
{{lang|ja|[[一|一]] [[丁|丁]] [[七|七]]
[[丈|丈]] [[三|三]] [[上|上]]
[[丈|丈]] [[三|三]] [[上|上]]
631번째 줄: 633번째 줄:
[[鼓|鼓]] [[鼻|鼻]] [[斎|斎]]
[[鼓|鼓]] [[鼻|鼻]] [[斎|斎]]
[[歯|歯]] [[齢|齢]] }}
[[歯|歯]] [[齢|齢]] }}
</Big></Big>
{{다단 끝}}
{{펴기 끝}}
{{펴기 끝}}


==함께 보기==
==함께 보기==

2025년 5월 8일 (목) 21:44 기준 최신판

개요

당용한자는 1946년에 일본 정부가 공표한 ‘당용한자표(當用漢字表)’에 포함된 한자들이다.

당용한자에는 총 1,850자가 수록되어 있었으며, 공문서와 교육, 언론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되었다.

당용한자의 목적은 문자 사용의 표준화를 통한 문맹 퇴치와 행정 효율화였다. 그러나 당용한자에는 신자체와 구자체가 혼재되어 있다.


당용한자 목록

당용한자 목록 1,850자 이다.

使 便 寿 姿 婿 宿 尿 殿 沿 湿 稿 簿 綿 西 調 貿 退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