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사례== | | ==사례== |
| | ===국내=== |
| *[[3S정책]] - 우민화 정책의 일종이기는 하나 [[규제]]를 일부 풀어주고 국민의 문화적 질을 높여줬다. | | *[[3S정책]] - 우민화 정책의 일종이기는 하나 [[규제]]를 일부 풀어주고 국민의 문화적 질을 높여줬다. |
| *[[새마을 운동]] - 실질적인 먹고사니즘인 경제문제를 해결해낸 경우. | | *[[새마을 운동]] - 실질적인 먹고사니즘인 경제문제를 해결해낸 경우. |
| | ===해외=== |
| | *[[그라쿠스 형제]](로마공화국) - 호민관들인 이들은 군인우대 등을 주장했다. |
| | *[[대안우파]](미국) - 서민주의적인 이념이다. |
| | |
|
| |
|
| [[분류:이념]] | | [[분류:이념]] |
2024년 11월 30일 (토) 12:44 판
한자: 庶民主義
개요
서민 계층을 중시하는 이념. 강남좌파의 생색용으로 자주 사용된다. 다만 포퓰리즘과 반대로 긍정적인 뉘앙스가 강하다.
제4공화국이나 대안우파도 어찌보면 서민주의다.
운동권은 스스로를 서민주의자라고 포장하지만 쿠팡우파와 같이 그들이 사용하는 멸칭에서 곧 드러나듯이 실상은 엘리트주의에 가깝다. 한국에서 진정으로 서민주의를 실천했던 대통령들은 서민출신이었던 박정희와 전두환 정도밖에 없다.
서구권의 경우 일반적으로 우파는 서민주의와 멀었으나 대안우파나 도널드 트럼프의 등장으로 서민주의적인 우파가 등장했다.
사례
국내
- 3S정책 - 우민화 정책의 일종이기는 하나 규제를 일부 풀어주고 국민의 문화적 질을 높여줬다.
- 새마을 운동 - 실질적인 먹고사니즘인 경제문제를 해결해낸 경우.
해외
- 그라쿠스 형제(로마공화국) - 호민관들인 이들은 군인우대 등을 주장했다.
- 대안우파(미국) - 서민주의적인 이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