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대 국왕
제1대태조 제10대연산군 제19대숙종
제2대정종 제11대중종 제20대경종
제3대태종 제12대인종 제21대영조
제4대세종 제13대명종 제22대정조
제5대문종 제14대선조 제23대순조
제6대단종 제15대광해군 제24대헌종
제7대세조 제16대인조 제25대철종
제8대예종 제17대효종 제26대고종
제9대성종 제18대현종 제27대순종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왕관 dark.png
효종[1]
孝宗
지위
재위
1649년 5월 13일 ~ 1659년 5월 4일 (음력)
즉위식
창덕궁 인정문
조선국 왕세자

소현세자

왕세자 연 (현종)
재위
1645년 9월 27일 ~ 1649년 5월 12일 (음)
이름
이호(李淏)
군호
봉림대군(鳳林大君)
존호
흠천달도광의홍열
(欽天達道光毅弘烈)
시호
선문장무신성현인명의정덕대왕
(宣文章武神聖顯仁明義正德大王)
능호
영릉(寧陵)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신상정보
출생일
1619년 7월 3일 (음력)
출생지
조선 한성부 경행방 향교동 본궁
사망지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부친
모친
인열왕후 한씨
배우자
인선왕후 장씨
자녀
1남 7녀 (3남 8녀)
현종, 조졸 대군 2명, 공주 1명
숙신공주, 숙안공주, 숙명공주,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 숙녕옹주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 재위 :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국왕으로, 휘는 호(淏), 군호는 봉림대군이다.

형인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에서 8년간 인질 생활을 하였다.

소현세자와 달리 반청의식이 강한 성향이었다.

인조가 적장자인 소현세자와 그 아내인 며느리와 자식들까지 죽였고, 사대부 사이에서는 이 과정을 적연치 않게 생각하는 여론이 있었다. 제위기간 내내 정통성 시비가 있었고, 죽어서도 예송논쟁의 한 원인이 되었다.

청나라에 대한 비현실적인 정신승리 프로파간다 같은 거지만, 북벌을 추구하기도 했다.



각주

  1. 자세한 사용법은 틀:군주 정보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