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肅宗[1] | |
지위 |
|
재위 |
1674년 8월 23일 ~ 1720년 6월 8일 (음력) |
즉위식 |
창덕궁 인정문 |
재위 |
1667년 1월 22일 ~ 1674년 8월 23일 (음력) |
이름 |
|
휘 |
이순(李焞) |
시호 |
현의광륜예성영렬···헌무경명원효대왕
|
능호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61년 8월 15일 (음력) |
출생지 |
|
사망일 |
1720년 6월 8일 (음력) |
사망지 |
|
부친 |
|
모친 |
명성왕후 김씨 |
배우자 |
|
자녀 |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 재위: 1674년 9월 22일 (음력 8월 23일) ~ 1720년 7월 12일 (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조선 국왕이다.
개요
숙종의 성은 이(李), 휘는 돈(焞),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용상(龍祥), 광(爌), 자는 명보(明譜)이다.
현종과 명성왕후의 외아들로 원비는 김만기의 딸 인경왕후, 계비는 민유중의 딸 인현왕후, 제2계비는 김주신의 딸 인원왕후이다.
14세의 어린나이에 왕위에 즉위하여 45년 10개월을 재위하여서 조선의 역대 임금중에 영조 다음으로 재위기간이 긴 왕이었다. 숙종은 재위기간 중 강해진 신권을 줄이기 위해 환국정치를 통해, 서인과 남인간의 세력을 조절하고 왕권을 강화시켰다.
적장자로 즉위한 몇안돼는 조선의 왕으로 정통성이 받쳐 줬기에 더 강한 왕권을 휘두를 수 있었다.
친어머니의 성격을 닮아서 그런지 굉장히 불같은 성격을 가진 왕이었다.
미디어물에서는 희빈 장씨, 인현황후와의 삼각관계 로맨스로 그려지는데
미디어에서 그려지는 것과 달리 도리어 숙종이 그의 아내들인 희빈 장씨나 인형황후까지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게 학계에서 설득력이 있다고 받아들여지는 주장이다.
애초에 희빈 장씨는 당시 기준으로 역관 재벌의 딸로 이례적으로 신하들이 왕의 부인으로서 적절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처음부터 나올 정도로 정치적인 결혼이었다.
가족관계
부모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부 | 현종대왕 顯宗大王 |
전주 | 1641년 - 1674년 | 효종대왕 孝宗大王 인선왕후 장씨 仁宣王后 張氏 |
제18대 국왕 |
모 | 명성왕후 김씨 明聖王后 金氏 현열왕대비 顯烈王大妃 |
청풍 | 1642년 - 1683년 | 청풍부원군 김우명 淸風府院君 金佑明 덕은부부인 은진 송씨 德恩府夫人 恩津 宋氏 |
왕비
시호 |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정비 | 인경왕후 김씨 仁敬王后 金氏 |
광산 | 1661년 - 1680년 | 광성부원군 김만기 光城府院君 金萬基 서원부부인 청주 한씨 西原府夫人 淸州 韓氏 |
|
제1계비 | 인현왕후 민씨 仁顯王后 閔氏 |
여흥 | 1667년 - 1701년 | 여양부원군 민유중 驪陽府院君 閔維重 은성부부인 은진 송씨 恩城府夫人 恩津 宋氏 |
|
제2계비 | 인원왕후 김씨 仁元王后 金氏 혜순대왕대비 惠順大王大妃 혜순왕대비 惠順王大妃 |
경주 | 1687년 - 1757년 | 경은부원군 김주신 慶恩府院君 金柱臣 가림부부인 임천 조씨 嘉林府夫人 林川 趙氏 |
후궁
작호 |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빈 | 희빈 장씨 禧嬪 張氏 옥산부대빈 玉山府大嬪 |
인동 | 1659년 - 1701년 | 장형 張炯 파평 윤씨 坡平 尹氏 |
|
숙빈 최씨 淑嬪 崔氏 화경숙빈 和敬淑嬪 |
해주 | 1670년 - 1718년 | 최효원 崔孝元 남양 홍씨 南陽 洪氏 |
영조의 생모 | |
명빈 박씨 䄙嬪 朴氏 | 밀양 | ? - 1703년 | 박효건 朴孝健 | ||
영빈 김씨 寧嬪 金氏 | 안동 | 1669년 - 1735년 | 김창국 金昌國 전주 이씨 全州 李氏 |
||
귀인 | 귀인 김씨 貴人 金氏 | 경주 | 1690년 - 1735년[2] | 김시구 金時龜 | |
소의 | 소의 유씨 昭儀 劉氏 | 강릉 | ? - 1707년 | 미상 |
왕자
군호 |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경종대왕 景宗大王 | 윤 昀[3] | 1688년 - 1724년 | 희빈 장씨 | 단의왕후 심씨 端懿王后 沈氏 선의왕후 어씨 宣懿王后 魚氏 |
제20대 국왕 |
2 | 왕자 | 성수 盛壽 | 1690년 - 1690년 | |||
3 | 왕자 | 영수 永壽 | 1693년 - 1693년 | 숙빈 최씨 | ||
4 | 영조대왕 英祖大王 연잉군 延仍君 |
금 昑 | 1694년 - 1776년 | 정성왕후 서씨 貞聖王后 徐氏 정순왕후 김씨 貞純王后 金氏 |
제21대 국왕 | |
5 | 왕자 | 1698년 - 1698년 | ||||
6 | 연령군 延龄君 | 훤 昍[4] | 1699년 - 1719년 | 명빈 박씨 | 상산군부인 김씨 商山郡夫人 金氏 |
왕녀
생몰년 | 생모 | ||
---|---|---|---|
1 | 공주 | 1677년 - 1678년[5] | 인경왕후 김씨 |
2 | 공주 | 1679년 - 1679년[6] |
역대 국왕
제1대ㆍ태조 | 제10대ㆍ연산군 | 제19대ㆍ숙종 | |
제2대ㆍ정종 | 제11대ㆍ중종 | 제20대ㆍ경종 | |
제3대ㆍ태종 | 제12대ㆍ인종 | 제21대ㆍ영조 | |
제4대ㆍ세종 | 제13대ㆍ명종 | 제22대ㆍ정조 | |
제5대ㆍ문종 | 제14대ㆍ선조 | 제23대ㆍ순조 | |
제6대ㆍ단종 | 제15대ㆍ광해군 | 제24대ㆍ헌종 | |
제7대ㆍ세조 | 제16대ㆍ인조 | 제25대ㆍ철종 | |
제8대ㆍ예종 | 제17대ㆍ효종 | 제26대ㆍ고종 | |
제9대ㆍ성종 | 제18대ㆍ현종 | 제27대ㆍ순종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
각주
- ↑ 자세한 사용법은 틀:군주 정보 참조.
- ↑ 《숙종조 귀인김씨 묘표(肅宗朝貴人金氏墓表)》
- ↑ '균'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 ↑ '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 ↑ 《승정원일기》 264책 (탈초본 14책) 숙종 4년(1678년 청 강희(康熙) 17년 윤3월 13일 (계축)
○ 新生公主卒逝後, 大殿, 政院·玉堂問安。答曰, 知道。
새로 태어난 공주가 졸서한 뒤, 대전에 정원과 옥당이 문안하니, 알았다고 답하였다. - ↑ 《숙종실록》 8권, 숙종 5년(1679년 청 강희(康熙) 18년) 10월 23일 (갑신)
중궁전이 해산을 하여 공주를 낳았으나, 이튿날 공주가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