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rge H.W. Bush.jpg
조지 H.W. 부시
George Herbert Walker Bush
직책 미국 제41대 대통령
(1989.1 ~ 1993.1)
←전임후임→
정당 공화당
생몰기간 1924년 6월 12일 ~ 2018년 11월 30일
출생지 메사추세츠 주 밀턴
학력

예일 대학교(경제학/학사)

경력 CIA 국장
배우자 바버라 부시
자녀 조지 W. 부시

로빈 부시
젭 부시
닐 부시
마빈 부시
도로시 부시

종교 개신교
싸인 George H. W. Bush signature.png


개요

미국제41대 대통령

아들도 대통령이기에 구분하기 위해 보통 아버지 부시라고 한다.

재임기간 중 냉전기간 최대라이벌인 소련이 해체되었다.

중국이 부상하기 전까지 미국의 일극 체재가 시작된 시기에 대통령이라고 볼 수 있다.

모든 나라에 미국식 민주주의 체재를 이식 시키겠다는(어떤면에서는 무모한, 실제로 각 나라마다 환경이 제각각이기에 이런 외교정책은 실현가능성이 낮고, 실패하고 있다고 보는 사람들도 많다.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실패했다.) 미국의 외교정책이 시작된 정권이다.

생애

레이건 때 부통령이었다.

당선

1998년 열린 미국 대통령 선거에 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마이클 듀카키스를 꺾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재선 실패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빌 클린턴에게 패배함으로서 대통령 재선에 실패했다.

빌 클린턴이 현직 대통

령인 조지 H.W. 부시를 꺾고 대통령의 당선될 수 있었던 이유로는 경제 때문이었다. 당시 미국은 일시적인 불경기를 겪고 있었는데 클린턴의 선거 구호는

It's the economy, stupid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

였을 만큼 클린턴은 조지 H.W. 부시의 경제 실정 문제를 지적하며 큰 인기를 얻어 당선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이 불경기가 조지 H.W. 부시 대통령의 경제 실정 탓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지나치게 케인즈 학파의 주장에 경도되어 있던 1960년대와 70년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는 지나치게 많은 달러를 발행하였고 그 결과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만성화된 상태였다. 따라서 당시 연방준비제도는 인플레이션을 퇴치하기 위해 통화긴축정책을 실시하였는데 그것이 그만 일시적인 불경기를 일으키고 만것이었다. 어찌 되었건 일반 미국인들은 이러한 자세한 사정을 알지 못했고 조지 H.W. 부시는 재선에 실패하였고 빌 클린턴은 이를 이용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재임기간 때 걸프전쟁을 일으켰고, 단기간에 전쟁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했고 성공적인 전쟁으로 평가 받는다.(개전시에는 지지율이 일시적으로 엄청 높았다. 보통 전쟁하면 미국도 그렇고 나라가 단결하기 때문. 하지만 재선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걸프전으로 이라크군 전력을 완전히 박살 냈지만 이후 후세인 정권은 계속 유지됐다.

공교롭게도 아들인 아들부시도 아버지처럼 이라크로 쳐들어갔다. 아들부시의 이라크 전쟁은 후세인 정권을 축출하는데 성공했지만 이후 전후 점령 과정에서 실패하여 대삽질 실패한 전쟁으로 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