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戰略
개요
조지 레이코프가 로널드 레이건의 당선과 대학생의 우경화를 보고 인지언어학을 이용해 만든 전략이다. 일반인들은 자신이 합리적으로 생각한다 생각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프레임이 만들어지면 거기서 헤어나오지를 않는데 이를 이용한 전략이다. 단어의 본뜻 자체를 무마시키는 용어혼란전술과 연관이 깊다.
프레임이라는 것은 영어로 액자다 그림을 보면 알맹이인 그림을 봐야 되는 데 정작 그림이 아닌 그림을 싸고 있는 액자에 가두어서 액자만 보고 그림을 판단하게 왜곡 한다는 것이다.
프레임의 효과를 본 대통령은 레이건[1]과 박근혜[2]가 있으며 좌파에서 이를 잘 이용한 대통령은 미국의 오바마 등이 있다.
이러한 전략을 보수쪽에서 연구하는 곳은 엘정책연구소의 이정훈 교수가 있다.
보수가 가능한 프레임 전략
뉴라이트를 손절하거나 적어도 존 볼턴처럼 이념에 소극적으로 변한다면 86 운동권 및 좌파들에게 다음같은 프레임을 씌울 수 있다.
- 친노동 보수 vs 반노동 좌파
좌파들의 대다수는 학력이 높고 화이트 칼라나 쁘띠 부르주아에 속하므로 좌파야말로 부자들만을 위한 정당이라는 프레임을 씌울 수 있다. 단 이것은 네오콘을 헤게모니에서 배재했을때의 얘기일 뿐이다. 실제로 한국의 뉴라이트가 엘리트주의적이다 뿐이지 대안우파를 비롯한 서구권 신보수는 대다수가 블루칼라의 지지를 받는 친서민 정당이다. 다만, 반기업이라기 보다는 일자리를 늘리고 세금징수를 낮추는 작은정부 정책에 가깝다.
- 좌파 엘리트주의
이들은 페미니즘을 비롯해서 학계의 권위나 여성학을 이용해 반페미를 인종차별, 못배운 하층민 등으로 비하한다. 다시말해 PC주의는 엘리트주의이자 권위주의라고 역이용해서 비판할 수 있는 것이다. 모르면 공부하세요라는 밈을 활용해도 좋다.
- 세금중독, 반검열
더불어민주당은 뉴라이트와 더불어 강력한 게임규제를 주장하며 게이머들의 공공의 적이다. 이러한 규제를 위한 게임중독 프레임을 역이용해 좌우정치인들의 세금중독이야말로 게임중독보다 심각한 문제라고 프레임을 짤 수 있다. 여기서 연장하여 큰 정부가 말은 번지르르해도 과도한 세금을 징수하는 일이며, 결론적으로 민중의 고된 삶을 더 가혹하게 만든다는 프레임을 씌울 수 있다.
용어혼란전술
- 신냉전 → 항일전쟁
- 가족 → 반동성애
- 일제시대 → 일제강점기
- 자유민주주의 → 민주주의
프레임이 깨진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경우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의 산업화 정신과 육영수 여사의 프레임 그 자체로 산업화 세대의 상징과도 같다. 한 세대를 사로잡는 상징과도같은 대통령이 해쉬태그 #그래서_최순실은 프레임으로 무너졌는데 이또한 프레임을 이용한것이다.
진보진영의 경우 드루킹이 난리일때 특검을 했고 사기 프레임이 바로 무마되었다. 범보수에서 이러한 전략은 요원하다.
우파가 만든 프레임
종북을 과도한 프레임의 관점으로 보면 질려서 깨진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밥먹어도 종북, 게임해도 종북, 싸워도 종북, 낯설면 종북을 남발했기때문에 종북정치인이 있어도 그 의미 자체가 옅어지고 별것 아닌게 된다. 물론 틀딱은 그 책임을 자신이 종북이라 지칭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돌릴것이다.
반중친미도 프레임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좌파들이 쓰는 항일전쟁과 달리 한미일 삼각동맹의 성격이 무엇인지 인식시켜주는게 저 단어다.
대안우파의 밈 문화
특히 서구권에서 유행하는 밈의 경우 우익진영에서 리버럴의 프레임을 거의 분쇄시키다시피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결정적 이유중 하나가 청년층의 밈 문화 덕분
문제는 대한민국의 경우 유교와 봉건제의 영향이 강해서 문화조차 기성세대가 점거하려해서 젊은층의 문화가 피어나지를 못한다. 도널드 트럼프같은 보수 대통령은 틀딱의 방해로 나오지를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