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고려 국왕은 고려의 최고통치자였다. 사극 등에서는 황제라고 호칭을 통일하는데, 당시 기록은 금석문을 봐도 황제보다는 왕이라는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다. 몽골의 지배로 충자 돌림자 왕이 되기 전에도 말이다.
지금 기준으로는 황제의 격식을 갖춘 것도 많은데, 이 당시는 그냥 그런 걸 일일히 구분 안하고 중국에서 수입 해 온 것으로 보인다. 엄밀하게 외왕내제(중국에는 왕으로 칭하지만, 나라 안에서는 황제를 자처한 것 베트남이 이랬다) 이런 거를 생각 안한 것. 중국에서는 황제와 제후왕의 격식을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구분한다. 황제는 용어 자체도 다르고 그런데. 조선시대만 세종 때 보면 세종이 신하와 황제와 제후 왕의 격식이 세세하게 무엇이 다른지 토의하기도 했고, 나름 엄격하게 이걸 구분했던 조선시대에도 알고보면 왕이 아닌 황제의 격식을 쓴 경우도 있었다.
원나라의 지배를 받았을 때 대대적으로 이런 격식에 강등조치가 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원나라 때는 명목상으로 고려왕이 요동이나 만주를 지배하는 왕인 심양왕 혹은 심왕에 책봉되기도 했다. 물론 실제로 요동과 만주일대를 지배했던 것은 아니다. 이 당시에는 한반도에 쌍성총관부가 있었고, 한반도 통치조차 원의 간섭이 심했던 시기이니
왕건등이 고려왕으로 책봉 되기 전에는 권지국사로 책봉을 받기도 했는데 왕을 대신해 이곳을 다스리는 직책 비슷한 뜻이다. 이후에 이성계 등도 고려왕이 아닌 고려권지국사라는 직위로 책봉을 받기도 했고, 태종 이방원 때 이르러 명나라 황제인 건문제로부터 조선국왕으로 정식 책봉을 받았다.
왕이 자주 바뀐 편에 속하고, 왕권이 강했던 시기도 비교적 짧았다.
초창기에는 호족세력 강했고, 그 다음에도 권신들이 있었고 게다가 무신정변 때는 왕은 꼬두각시 였으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지배를 받았다.
원나라의 지배를 받던 충자 돌림 왕중 상당수가 원나라의 공주와 결혼했고 어머니가 몽골사람이었다. 몽골족의 일원으로 받아 들여져 몽고의 중요회의인 쿠릴타이에 참여하는 일원이 되었을 정도. 어렸을 때는 고려가 아닌 당시 원나라였던 중국에서 볼모와 같이 성장해서 왕이 되어서야 고려로 가는 경우도 많았다.
충선왕 같은 경우는 아예 한국계 몽골인 수준으로 고려왕을 잠깐 지냈지만 고려보다는 몽골인에 정체성이 훨씬 강한 경우였다. 고려인 이라기보다 고려 피가 흐르는 몽골인이라고 봐야 한다. 본인부터가 고려왕보다 원나라 황족 일원임을 훨씬 중요시 생각했고 그렇게 행동했고 원나라 수도인 대도에서 여생을 마감했다. 물론 충선왕이 고려 왕중에서는 매우 특이한 케이스이긴하다.
우왕, 창왕등은 조선초기 공민왕의 후손이 아니라 신돈의 후손이라는 설을 채용 시호도 없이 왕우, 왕창이라는 이름에서 가져와서 우왕 창왕이라고 붙혔을 정도로 정식 왕으로 조선에선 취급하지 않았다. 현재는 우왕 등은 공민왕의 후손으로 본다. 아마 이성계에 쿠데타 등을 정당화하고 두 왕을 폐위시키고 공양왕을 옹립 한 것에 대한 정당화를 위해 두 왕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격하하기 위해서 그렇게 하지 않았나 라고 보는 설이 우세한 편이다.
역대 고려국왕
고려의 역대 국왕 | |||
---|---|---|---|
대수 | 묘호 | 묘호 (한자) |
재위기간 |
1대 | 태조 | 太祖 | 918년 ~ 943년 |
2대 | 혜종 | 惠宗 | 943년 ~ 945년 |
3대 | 정종 | 定宗 | 945년 ~ 949년 |
4대 | 광종 | 光宗 | 949년 ~ 975년 |
5대 | 경종 | 景宗 | 975년 ~ 981년 |
6대 | 성종 | 成宗 | 981년 ~ 997년 |
7대 | 목종 | 穆宗 | 997년 ~ 1009년 |
8대 | 현종 | 顯宗 | 1009년 ~ 1031년 |
9대 | 덕종 | 德宗 | 1031년 ~ 1034년 |
10대 | 정종 | 靖宗 | 1034년 ~ 1046년 |
11대 | 문종 | 文宗 | 1046년 ~ 1083년 |
12대 | 순종 | 順宗 | 1083년 ~ 1083년 |
13대 | 선종 | 宣宗 | 1083년 ~ 1094년 |
14대 | 헌종 | 獻宗 | 1094년 ~ 1095년 |
15대 | 숙종 | 肅宗 | 1095년 ~ 1105년 |
16대 | 예종 | 睿宗 | 1105년 ~ 1122년 |
17대 | 인종 | 仁宗 | 1122년 ~ 1146년 |
18대 | 의종 | 毅宗 | 1146년 ~ 1170년 |
19대 | 명종 | 明宗 | 1170년 ~ 1197년 |
20대 | 신종 | 神宗 | 1197년 ~ 1204년 |
21대 | 희종 | 熙宗 | 1204년 ~ 1211년 |
22대 | 강종 | 康宗 | 1211년 ~ 1213년 |
23대 | 고종 | 高宗 | 1213년 ~ 1259년 |
24대 | 원종 | 元宗 | 1259년 ~ 1274년 |
25대 | 충렬왕 | 忠烈王 | 1274년 ~ 1298년
1298년 ~ 1308년 |
26대 | 충선왕 | 忠宣王 | 1298년 ~ 1298년
1308년 ~ 1313년 |
27대 | 충숙왕 | 忠肅王 | 1313년 ~ 1330년
1332년 ~ 1339년 |
28대 | 충혜왕 | 忠惠王 | 1330년 ~ 1332년
1339년 ~ 1343년 |
29대 | 충목왕 | 忠穆王 | 1344년 ~ 1348년 |
30대 | 충정왕 | 忠定王 | 1348년 ~ 1351년 |
31대 | 공민왕 | 恭愍王 | 1351년 ~ 1374년 |
32대 | 우왕 | 禑王 | 1374년 ~ 1388년 |
33대 | 창왕 | 昌王 | 1388년 ~ 1389년 |
34대 | 공양왕 | 恭讓王 | 1389년 ~ 1392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