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 태조 |
제2대 혜종 |
제3대 정종 |
제4대 광종 |
제5대 경종 |
제6대 성종 |
제7대 목종 |
제8대 현종 |
제9대 덕종 |
제10대 정종 |
제11대 문종 |
제12대 순종 |
제13대 선종 |
제14대 헌종 |
제15대 숙종 |
제16대 예종 |
제17대 인종 |
제18대 의종 |
제19대 명종 |
제20대 신종 |
제21대 희종 |
제22대 강종 |
제23대 고종 |
제24대 원종 |
제25대 충렬왕 |
제26대 충선왕 |
제27대 충숙왕 |
제28대 충혜왕 |
제29대 충목왕 |
제30대 충정왕 |
제31대 공민왕 |
제32대 우왕 |
제33대 창왕 |
제34대 공양왕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
충선왕 忠宣王 | |
직책 | 고려 26대 국왕 (1298년 ~ 1298년) ←전임후임→ |
묘호 | 없음 |
시호 | 고려 헌효대왕(憲孝大王) 원 충선왕(忠宣王) |
성 | 왕(王) |
휘 | 원(謜) → 장(璋) |
생몰기간 | (양력)1275년 10월 20일 ~ 1325년 6월 23일 |
재위기간 | 1기 1298년 ~ 1298년
2기 1308년 ~ 1313년 |
쿠빌라이의 외손자로 직위는 고려왕이었지만 실제 고려에서 통치한 건 1년 밖에 되지 않는다.
거의 고려계 몽골인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고려인이라기 보다는 몽골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더 강한 사람이었다.
고려왕이라는 직위보다 원나라 황족의 지위를 훨씬 중요시 했고, 실제로 고려에 얼마 있지도 않았다 거의 여생을 다 원나라에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