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 태조 |
제2대 혜종 |
제3대 정종 |
제4대 광종 |
제5대 경종 |
제6대 성종 |
제7대 목종 |
제8대 현종 |
제9대 덕종 |
제10대 정종 |
제11대 문종 |
제12대 순종 |
제13대 선종 |
제14대 헌종 |
제15대 숙종 |
제16대 예종 |
제17대 인종 |
제18대 의종 |
제19대 명종 |
제20대 신종 |
제21대 희종 |
제22대 강종 |
제23대 고종 |
제24대 원종 |
제25대 충렬왕 |
제26대 충선왕 |
제27대 충숙왕 |
제28대 충혜왕 |
제29대 충목왕 |
제30대 충정왕 |
제31대 공민왕 |
제32대 우왕 |
제33대 창왕 |
제34대 공양왕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
정종 定宗 | |
직책 | 고려 3대 국왕 (양력 945년 10월 23일 ~ 949년 4월 13일) ←전임후임→ |
묘호 | 정종(定宗) |
시호 | 지덕장경정숙문명대왕
(至德章敬正肅文明大王) |
성 | 왕(王) |
휘 | 요(堯) |
자 | 천의(天義) |
생몰기간 | (양력)923년 ~ 949년 4월 13일 |
재위기간 | (양력)945년 10월 23일 ~ 949년 4월 13일 |
개요
고려의 제3대 왕이다. 묘호는 정종(定宗)이며 본명은 왕요(王堯)이다.
가계
태조와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聖王太后) 유씨(劉氏) 사이에서 출생한 아들이며, 광종의 동복형이다.
즉위 후
즉위 한 이후 공신인 박술희와 태조의 장인이자 혜종의 장인인 왕규를 역모죄로 몰아 처형[1]했으며, 서경으로 천도하려 했으나[2] 지나친 토목공사로 인하여 민심이 악화되어 정종이 사망했을 때, 백성들이 기뻐하였다는 기록[3]이 있다. 왕위에 오른지 4년만에 27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아들 경춘원군(慶春院君)이 있었으나 사망 직전에 동생 광종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