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ㆍ태조 | 제10대ㆍ연산군 | 제19대ㆍ숙종 | |
제2대ㆍ정종 | 제11대ㆍ중종 | 제20대ㆍ경종 | |
제3대ㆍ태종 | 제12대ㆍ인종 | 제21대ㆍ영조 | |
제4대ㆍ세종 | 제13대ㆍ명종 | 제22대ㆍ정조 | |
제5대ㆍ문종 | 제14대ㆍ선조 | 제23대ㆍ순조 | |
제6대ㆍ단종 | 제15대ㆍ광해군 | 제24대ㆍ헌종 | |
제7대ㆍ세조 | 제16대ㆍ인조 | 제25대ㆍ철종 | |
제8대ㆍ예종 | 제17대ㆍ효종 | 제26대ㆍ고종 | |
제9대ㆍ성종 | 제18대ㆍ현종 | 제27대ㆍ순종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
×
![]()
| |||||||||||
지위 |
|||||||||||
재위 |
1455년 윤6월 11일 ~ 1468년 9월 7일 (음력) |
||||||||||
즉위식 |
경복궁 근정전 |
||||||||||
|
|||||||||||
재위 |
1468년 9월 7일 ~ 1468년 9월 8일 (음력) |
||||||||||
이름 |
|||||||||||
휘 |
이유(李瑈) |
||||||||||
묘호 |
세조(世祖) |
||||||||||
군호 |
수양대군(1445년-1455년) 진양대군(1433년-1445년) 함평대군(1433년) 진평대군(1428년-1433년) |
||||||||||
존호 |
승천체도열문영무 (承天體道烈文英武) |
||||||||||
시호 |
혜장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대왕 (惠莊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 |
||||||||||
능호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417년 11월 7일 |
||||||||||
출생지 |
|||||||||||
사망일 |
1468년 9월 23일 |
||||||||||
사망지 |
|||||||||||
부친 |
|||||||||||
모친 |
소헌왕후 심씨 |
||||||||||
배우자 |
정희왕후 윤씨 |
||||||||||
자녀 |
|||||||||||
종교 |
조선의 7대 왕이다. 세종의 차남이다.
조카인 단종을 쫓아내고 왕이 되서 현재는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 편이다. 세조는 김종서, 황보인, 안평대군이 단종을 끌어내릴 거라고 주장하며 단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계유정난를 일으켜 왕위에 올랐다.
수양대군으로도 불린다.
특이하게 불교를 굉장히 숭상한 조선시대 왕이었다.
조선시대 왕중에는 왕 개인 본인은 불교를 신앙했어도, 숭유억불 정책을 핀 경우가 많은데. 세조는 대놓고 불교에 우호적인 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