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9번째 줄: 39번째 줄:
재일교포로 17세에 북송선을 탔다가 43년만에 탈북해서 일본에 거주하는 가와사키 에이코(川崎栄子)는 북한 체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재일교포로 17세에 북송선을 탔다가 43년만에 탈북해서 일본에 거주하는 가와사키 에이코(川崎栄子)는 북한 체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인용문|“북한은 조선 봉건사회로부터 직접 일제 식민지를 거쳐 소련의 의도에 따라 [[김일성]]이 투입됐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한 번도 자유와 민주주의를 맛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계급구조를 인간 사회의 상식으로 당연시했고,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권력세습이 이뤄져도 그 또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https://kr.theepochtimes.com/%ec%9d%b8%ed%84%b0%eb%b7%b0-%ed%83%88%eb%b6%81-%ec%9e%ac%ec%9d%bc%ea%b5%90%ed%8f%ac-%ec%a7%80%ec%83%81%eb%82%99%ec%9b%90%ec%9d%80-%ea%b1%b0%ec%a7%93-%ec%84%a0%ec%a0%84%ea%b7%b8_628189.html <nowiki>[인터뷰]</nowiki> 탈북 재일교포 “지상낙원은 거짓 선전…그곳은 지옥이었다”]<br>‘일본에서 북한으로 간 사람들의 이야기’ 저자 가와사키 에이코 : 에포크타임스 2022년 09월 4일}}
{{인용문|“북한은 조선 봉건사회로부터 직접 일제 식민지를 거쳐 소련의 의도에 따라 [[김일성]]이 투입됐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한 번도 자유와 민주주의를 맛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계급구조를 인간 사회의 상식으로 당연시했고,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권력세습이 이뤄져도 그 또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https://kr.theepochtimes.com/%ec%9d%b8%ed%84%b0%eb%b7%b0-%ed%83%88%eb%b6%81-%ec%9e%ac%ec%9d%bc%ea%b5%90%ed%8f%ac-%ec%a7%80%ec%83%81%eb%82%99%ec%9b%90%ec%9d%80-%ea%b1%b0%ec%a7%93-%ec%84%a0%ec%a0%84%ea%b7%b8_628189.html <nowiki>[인터뷰]</nowiki> 탈북 재일교포 “지상낙원은 거짓 선전…그곳은 지옥이었다”]<br>‘일본에서 북한으로 간 사람들의 이야기’ 저자 가와사키 에이코 : 에포크타임스 2022년 09월 4일}}
자기네들 국호를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이라 하는데 민주주의는 당연히 아니며, 사실 공화국도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공화국은 왕이 없는 나라인데, 북한은 웬만한 전제왕권 국가 빰치는 세습 왕조와 같은 모습이다. 직함만 왕이 아니지 왕보다 더하는 절대권력을 세습중이다.  북한이 내세우는 사회주의 체재도 당연히 세습 왕조를 타파해야 할 봉건주의 잔재로 여긴다. 사회주의 종주국을 자처하던 소련은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혁명을 일으켜서 만들어진 나라다. 알기로는 사회주의를 표방한 독재국가 중 세습을 한 나라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자기네도 세습을 하면서 사회주의라 하기 뭐했는지 김정일로 후계자 구도가 갖추어질 때 헌법에서 사회주의라는 말을 뺏다고 한다. 물론 헌법에서만 뺏자 우리식 사회주의라며 사회주의라는 표어가 없어진 건 아니다. 김씨일가의 말(교시)이나 유일 10대 원칙등이 중요하지 북한에서 헌법 포함 법 같은 거는 중요하지도 않다 원래.   


==지리==
==지리==
북한의 면적은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는 면적과 비슷하다. 또한 [[중국]], [[러시아]]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북한이 남한 실효면적보다 살짝 크다. 한반도 최대의 고원이 개마고원 등 남한 이상으로 산지가 많다 상당수가 민둥산이 되서 그렇지
북한의 면적은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는 면적과 비슷하다. 또한 [[중국]], [[러시아]]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북한이 남한 실효면적보다 살짝 크다. 한반도 최대의 고원이 개마고원 등 남한 이상으로 산지가 많다 상당수가 민둥산이 되서 그렇지. 우라늄 등등 한반도 남반부보다 북한지역에 자원도 더 많은 편.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의 관계==
55번째 줄: 58번째 줄:
일론 머스크는 사진 설명글에 "미친 아이디어: 한 나라를 반으로 나눠서 한쪽은 자본주의, 한쪽은 공산주의로 두자. 그리고 70년 후 그 결과를 들여다보자(“Crazy idea: Let’s divide a country into half capitalist and half communist and check on it 70 years later.”)"라고 썼다.
일론 머스크는 사진 설명글에 "미친 아이디어: 한 나라를 반으로 나눠서 한쪽은 자본주의, 한쪽은 공산주의로 두자. 그리고 70년 후 그 결과를 들여다보자(“Crazy idea: Let’s divide a country into half capitalist and half communist and check on it 70 years later.”)"라고 썼다.


{{스크롤}}
[[파일:2023-12-31 Elon Musk.jpg|800픽셀|섬네일|가운데|]]
[[파일:2023-12-31 Elon Musk.jpg|800픽셀|섬네일|가운데|]]
{{스크롤 끝}}


==역대 지도자==
==역대 지도자==
62번째 줄: 69번째 줄:
{{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수반}}
{{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수반}}


==김일성 일가 가계도==
{{틀:북한 가계도}}




90번째 줄: 99번째 줄:
}}
}}


여담
여러가지 체재의 안 좋은 면만은 두루 두루 가진 것 같다.. 거의 이씨 조선에서 김씨조선으로 회귀한 것 같다.
거기에 천황제적  국군주의적 요소,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비효율성 경직성 등등 여러체재의 단점들 두루 두루 갖추고 있다.
외국에서는 파탄 불량국가 취급을 받고 있다. 쿠바, 이란 등으로 같이 묶이는 불량국가들을 여행한 미국인이 쓴 책 불량국가에서는 북한 외에 쿠바 이란 등은 그래도 어느정도 자유가 보장되고, 외부세계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것에 비해 북한은 그런 나라들과는 결을 달리하는 최악의 극장국가라고 평했다.


==함께 보기==
==함께 보기==

2024년 6월 25일 (화) 23:13 기준 최신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DPR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은 대한민국주적이다.

다른 말로는 북괴(北傀)[2], 북한(北韓)[3], 북조선(北朝鮮)[4]등으로 사용한다.

개요

동아시아 한반도 북부에 있는 군벌 집단/공화국. 정식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약칭은 '(북)조선'이다.(일본어에서는 북조선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약칭은 'DPRK'이다. 북괴(北傀)는 소련이 세운 괴뢰국가}}라는 뜻으로 냉전 시기에 한국에서 주로 쓰던 명칭이며, 북조선(北朝鮮)은 일본, 중국 등에서 쓰는 용어이다. 북한(北韓)은 현재 한국에서 주로 통용되는 명칭이다. 일반적으로 영어권에서는 North Korea라고 부르며, 다른 유럽 언어권에서도 '북쪽 한국/조선'에 대응되는 번역어를 사용한다.

지위

대한민국 헌법 제3조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 의하면 북한은 국가가 아닌 정부를 참칭하는 반국가단체이다.

여기서 한반도는 당연히 군사분계선 위 북한 땅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영토조항이 갖는 규범적 의미는 한반도에서 유일한 합법정부는 대한민국이고 휴전선 이북 지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는 미수복지역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국가보안법의 존립 근거이기도 하다.

국내법 뿐만 아니라 국제법 상으로도 북한은 합법적인 정부로 인정받지 못했다. 1948년 12월 12일, 유엔 총회에서 결의한 유엔총회결의 195호에서는 대한민국을 한반도 내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UN과 대한민국 건국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역사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일본의 항복과 동시에 한반도 북부에서 소련이 자신의 세력확장을 위해 공산주의(소비에트 연방의 노선에 동조하는)를 지향하는 공화국을 표방하며 스탈린의 지령으로 평양의 소련군정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러니까 소련의 앞마당으로 건설되었다는 얘기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련은 갖가지 만행을 자행하였는데 자세한 사항은 북한 점령 소련군의 만행을 참고할 것. 뿐만 아니라 북한을 점령한 소련군은 국민들의 지지가 높던 지도자 조만식을 연금하고, 자신들이 하바로프스크 인근 88여단에서 5년간 훈련시켜 데려온 소련군 진지첸(Цзин Жи Чен, 북한 김일성) 대위를 꼭두각시 지도자로 내세운 공산주의 국가를 만들었다. 소련군정 기간은 국내에 지지세력이 전혀없던 김일성을 전면에 내세워 지도자 훈련을 시키며 그의 권력기반을 다져주는 과정이었다. 이같이 대한민국과는 달리 북한 주민은 체제나 지도자를 선택할 권리를 철저히 박탈당했다.

원래는 소련파 연안파 등등 여러가지 사회주의 파벌이 있었지만 김일성이 모든 파벌을 숙청하고 김정일이 온사회의 김일성화를 천명하면서 어떤 면에서 사회주의 자체를 거의 버렸다.

80년대 동구권이 무너지기 전까지는 소련과 동구권의 지원으로 나름 잘 살았다. 소련과 동구권이 무너지면서 배급체계가 무너지고 90년대 초중반 대량의 아사자가 발생하는 고난의 행군 시기가 있었다.

정치와 인권

김일성 정권 출범후 소련군이 철군하고, 이어 스탈린이 사망한 후 중소 이념분쟁을 틈타 소련의 꼭두각시로 출발한 김일성은 점차 자신의 권력을 강화해 나가 김일성 유일체제를 만든다. 현재는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서 한 가문이 세습과 독재를 행하고 있다. 수령만이 전권을 가진 절대권력자이며, 여당인 조선로동당도 수령의 손발에 지나지 않는다. 나머지 정당들은 구색갖추기용 겉치레이다

경제적으로는 국민 소득이 낮은 후진국이며, 정치적 자유도에서도 세계 최하위권을 다투고 있는 국가다. 주민의 인권 마저도 세계 최악의 상황이다. 거주 이전과 직업선택의 자유는 존재하지 않으며 당국에서 정해주는 직업을 가지고 태어난 곳에서 평생을 보내야한다. 표현의 자유는 없으며 당국에 대해 작은 비판이라도 했다가는 정치범 수용소에 잡혀가는 것이 북한주민의 삶이다.

재일교포로 17세에 북송선을 탔다가 43년만에 탈북해서 일본에 거주하는 가와사키 에이코(川崎栄子)는 북한 체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북한은 조선 봉건사회로부터 직접 일제 식민지를 거쳐 소련의 의도에 따라 김일성이 투입됐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한 번도 자유와 민주주의를 맛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계급구조를 인간 사회의 상식으로 당연시했고,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권력세습이 이뤄져도 그 또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인터뷰] 탈북 재일교포 “지상낙원은 거짓 선전…그곳은 지옥이었다”
‘일본에서 북한으로 간 사람들의 이야기’ 저자 가와사키 에이코 : 에포크타임스 2022년 09월 4일


자기네들 국호를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이라 하는데 민주주의는 당연히 아니며, 사실 공화국도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공화국은 왕이 없는 나라인데, 북한은 웬만한 전제왕권 국가 빰치는 세습 왕조와 같은 모습이다. 직함만 왕이 아니지 왕보다 더하는 절대권력을 세습중이다. 북한이 내세우는 사회주의 체재도 당연히 세습 왕조를 타파해야 할 봉건주의 잔재로 여긴다. 사회주의 종주국을 자처하던 소련은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혁명을 일으켜서 만들어진 나라다. 알기로는 사회주의를 표방한 독재국가 중 세습을 한 나라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자기네도 세습을 하면서 사회주의라 하기 뭐했는지 김정일로 후계자 구도가 갖추어질 때 헌법에서 사회주의라는 말을 뺏다고 한다. 물론 헌법에서만 뺏자 우리식 사회주의라며 사회주의라는 표어가 없어진 건 아니다. 김씨일가의 말(교시)이나 유일 10대 원칙등이 중요하지 북한에서 헌법 포함 법 같은 거는 중요하지도 않다 원래.

지리

북한의 면적은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는 면적과 비슷하다. 또한 중국, 러시아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북한이 남한 실효면적보다 살짝 크다. 한반도 최대의 고원이 개마고원 등 남한 이상으로 산지가 많다 상당수가 민둥산이 되서 그렇지. 우라늄 등등 한반도 남반부보다 북한지역에 자원도 더 많은 편.

대한민국과의 관계

한반도의 남부 지역을 실효 지배 중인 대한민국과는 1950년부터 약 3년간 6.25 전쟁을 치렀고, 1953년 7월 27일부터 현재까지 60년 넘게 휴전 중에 있다.

이러한 휴전상황에서도 북한은 끊임없이 대한민국을 향한 살상, 포격, 학살 등을 자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순찰중인 대한민국 해군 소속 군함에 어뢰를 쐬서 격침시킨 천안함 사건, 연평도에 대포를 쏴서 민간인이 사망한 연평도 포격사건,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무원을 총으로 쏴서 사살하고 시신을 화형한 연평도 공무원 피격사건 등 북한의 대남도발 사례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국군은 북한군과 북한 정권을 '주적'으로 규정했다가 최근에는 군사 위협이라고만 하는 등 국가 수호의지를 제대로 보여주지 않고 있다.

분단 70년 후의 남북한 모습

2023년 12월 31일자 Elon Musk의 트윗 "Night and day difference".

일론 머스크는 사진 설명글에 "미친 아이디어: 한 나라를 반으로 나눠서 한쪽은 자본주의, 한쪽은 공산주의로 두자. 그리고 70년 후 그 결과를 들여다보자(“Crazy idea: Let’s divide a country into half capitalist and half communist and check on it 70 years later.”)"라고 썼다.

2023-12-31 Elon Musk.jpg


역대 지도자

김일성 일가 가계도

김형직
金亨稷
1894~1926
강반석
康盤石
1892~1932



한성희
韓聖姫
1914~ ?
김혜순
金惠順
1917~ ?
김정숙
金正淑
1917~1949
김일성
金日成
1912~1994
김성애
金聖愛
1924~2014
제갈씨
諸葛氏
 ? ~ ?



김정일
金正日
1941~2011
김슈라[5]
김만일?
1944~1947
김경희
金敬姬
1946~
김경숙
金敬淑
1951~
김경진
金經進
1952~
김평일
金平日
1954~
김영일
金英日
1955~2000
김백연
사생아
1987~
김현
金現
1971~



홍일천
洪一茜
1942~
성혜림
成蕙琳
1937~2002
김영숙
金英淑
1947~
고용희
高容姬
1952~2004
김옥
金玉
1964~



김혜경
金惠敬
1968 -
김정남
金正男
1971~2017
김설송
金雪松
1974~
김춘송
金春松
1975~
김정철
金正哲
1981 -
김정은
金正恩
1984~
리설주
李雪主
1989 -
김여정
金與正
1988 -



김한솔
金漢率
1995 -
김정주
金○○
2010 -
김주애
金○○
2013 -



범례:



북한 애국가

1절

아침은 빛나라 이 강산 은금에 자원도 가득한 삼천리(삼천리라는 가사가 통일을 연상한다고. 이 세상을 개사 하였다) 아름다운 내 조국 반만년 오랜 력사에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 슬기론 인민의 이 영광 몸과 맘 다 바쳐 이 조선 길이 받드세

2절

백두산 기상을 다 안고 근로의 정신은 깃들어 진리로 뭉쳐진 억센 뜻 온 세계 앞서 나가리

솟는 힘 노도도 내밀어 인민의 뜻으로 선 나라 한없이 부강하는 이 조선 길이 빛내세

여담

여러가지 체재의 안 좋은 면만은 두루 두루 가진 것 같다.. 거의 이씨 조선에서 김씨조선으로 회귀한 것 같다.

거기에 천황제적 국군주의적 요소,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비효율성 경직성 등등 여러체재의 단점들 두루 두루 갖추고 있다.

외국에서는 파탄 불량국가 취급을 받고 있다. 쿠바, 이란 등으로 같이 묶이는 불량국가들을 여행한 미국인이 쓴 책 불량국가에서는 북한 외에 쿠바 이란 등은 그래도 어느정도 자유가 보장되고, 외부세계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것에 비해 북한은 그런 나라들과는 결을 달리하는 최악의 극장국가라고 평했다.

함께 보기

각주

  1. 북한이 자칭하는 공식 명칭
  2. 소련이 세운 괴뢰국가라는 뜻으로 냉전 시기에 한국에서 주로 쓰던 명칭
  3. 현재 한국에서 주로 통용되는 명칭
  4. 일본, 중국 등에서 쓰는 용어
  5. 김만일(金萬日, 金萬一, 金万一), Kim Man-il 등으로 알려져있으나 그의 한국식 이름이 김만일이라는 어떤 근거 문헌도 찾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