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顯宗[1] | |
지위 |
|
재위 |
1659년 5월 9일 ~ 1674년 8월 18일 (음력) |
즉위식 |
창덕궁 인정문 |
재위 |
1649년 2월 18일 ~ 1649년 5월 13일 (음력) |
재위 |
1649년 5월 13일 ~ 1659년 5월 9일 (음력) |
이름 |
|
휘 |
이연(李棩) |
묘호 |
현종(顯宗) |
존호 |
소휴연경돈덕수성 (昭休衍慶敦德綏成) |
시호 |
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 (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 |
능호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41년 2월 4일 (음력) |
출생지 |
|
사망일 |
1674년 8월 18일 (음력) |
사망지 |
|
배우자 |
명성왕후 김씨 |
자녀 |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음력 8월 18일))은 조선의 제18대 국왕(재위: 1659년 6월 28일(음력 5월 9일) ~ 1674년 9월 17일(음력 8월 18일))이다.
개요
성은 이(李), 휘는 연(棩), 초명은 원(遠)이다. 효종과 인선왕후의 아들로, 왕비는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딸 명성왕후(明聖王后)이다. 조선의 역대 국왕 중 유일하게 외국(청나라)에서 태어났으며, 최초로 왕비 외에 후궁을 한명도 두지 않은 왕이기도 하다.
생애
탄생과 즉위
1641년(인조 19년) 2월 4일, 청나라 심양의 질관(質館)에서, 당시 인질 생활 중이던 아버지 봉림대군(효종)과 어머니 풍안부부인 장씨(인선왕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1645년(인조 23년), 아버지 봉림대군이 소현세자의 뒤를 이어 왕세자에 책봉되자 원손(元孫)이 되었다.
1649년(인조 27년) 2월 18일, 왕세손에 봉해졌는데, 왕세손의 책봉은 단종 이후 200년만의 일이었다. 같은해 5월 13일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1651년(효종 2년) 11월,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딸과 혼인하였다. 1659년(효종 10년) 5월, 효종이 승하하자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하였다.
예송논쟁

현종 시대에는 상복 문제를 두고 서인과 남인 사이에 두 차례의 예송(禮訟)이 일어났는데, 국왕의 정통성과도 관련된 문제인 만큼 정쟁이 심화되었다.
대청외교
병자호란 이후 관념적으로 북벌론을 주창하였지만, 현종 시기 청나라는 자국내의 명나라의 잔존세력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상태였으므로, 조선은 국방에 있어서 청나라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청나라는 조선에 칙사를 파견하여 군비 확충과 무기나 화약의 제조, 축성등을 감시하였고 삼전도비가 제대로 있는지 확인하였다.
최후
최후 및 능묘
1674년(현종 15년) 8월 7일, 현종은 재신들을 인견하려 하다가 몸을 가누지 못하였고, 8월 8일에는 온몸이 불덩이처럼 달아올라 고열에 시달려 무척 괴로워하였다.
8월 15일, 증세가 위중해지자 종묘사직과 산천에 기도를 올리고 대왕대비(장렬왕후) 조씨가 하교하여 현종의 거처를 옮기게 하였다.
8월 18일, 창덕궁 재려에서 34세를 일기로 승하하였다. 어머니 인선왕후가 사망한지 불과 반년 밖에 되지 않은 상태로, 국상 중에 몸이 많이 쇠약해져 있었다.
묘호 및 시호
묘호는 현종(顯宗)이며, 현(顯)의 의미는 '행실이 중외(中外)에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시호는 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으로 이후 소휴연경돈덕수성(昭休衍慶敦德綏成)의 존호가 더해졌다.
가족 관계
조선 제18대 국왕 | 현종 顯宗 | 출생 | 사망 |
---|---|---|---|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틀:청나라 국기 청나라 심양 심관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33세)
틀:조선 국기 조선 한성부 창덕궁 재려 |
부모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부 | 효종대왕 孝宗大王 | 전주 | 1619년 - 1659년 | 인조대왕 仁祖大王 인열왕후 한씨 仁烈王后 韓氏 |
제17대 국왕 |
모 | 인선왕후 장씨 仁宣王后 張氏 효숙왕대비 孝肅王大妃 |
덕수 | 1619년 - 1674년 | 신풍부원군 장유 新豊府院君 張維 영가부부인 안동 김씨 永嘉府夫人 安東 金氏 |
왕비
정비 | 시호 |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명성왕후 김씨 明聖王后 金氏 현열왕대비 顯烈王大妃 |
청풍 | 1642년 - 1683년 | 청풍부원군 김우명 淸風府院君 金佑明 덕은부부인 은진 송씨 德恩府夫人 恩津 宋氏 |
왕자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숙종대왕 肅宗大王 | 순 焞 | 1661년 - 1720년 | 명성왕후 김씨 | 인경왕후 김씨 仁敬王后 金氏 인현왕후 민씨 仁顯王后 閔氏 인원왕후 김씨 仁元王后 金氏 |
제19대 국왕 |
왕녀
작호 |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 | 공주[2][3] | 1658년 - 1658년 | 명성왕후 김씨 | |||
1 | 명선공주 明善公主 | 1659년 - 1673년 | 미혼[주 1] | |||
2 | 명혜공주 明惠公主 | 1662년 - 1673년 | 미혼[주 2] | |||
3 | 명안공주 明安公主 | 온희 溫姬[4] | 1665년 - 1687년 | 해창위 海昌尉 오태주 吳泰周 |
현종이 등장하는 작품
- 《장희빈》 (KBS2, 2002년~2003년, 배우:박영태)
- 《마의》 (MBC, 2012년~2013년, 배우:한상진)
- 《장옥정, 사랑에 살다》 (SBS, 2013년, 배우:전인택)
- 《탄생》 (영화, 2022년, 배우:남다름)
같이 보기
각주
- ↑ 자세한 사용법은 틀:군주 정보 참조.
- ↑ 《승정원일기》 효종 9년(1658년) 4월 28일과 6월 3일 기록에는 세자빈이 낳은 군주아기씨(郡主阿只氏)의 출생과 사망에 따른 상사를 전교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 ↑ 《승정원일기》 150책 (탈초본 8책) 효종 9년(1658년 청 순치(順治) 15년) 6월 3일 (기사)
군주 아기씨의 상사를 치상하는 문제에 대한 승정원의 계
정원이 아뢰기를,"군주 아기씨(郡主 阿只氏)의 상사(喪事)에, 예조 낭청과 귀후서(歸厚署)의 관원이 규례대로 상사(喪事)를 치르도록 분부하겠다는 뜻을 감히 아룁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궐 내에서 자체적으로 하였으니, 분부하지 말라고 하였다.
- ↑ 보물 제1220호 《명안공주 작명단자》
- 내용주
추존왕 목조 소생 |
|
추존왕 익조 소생 |
|
추존왕 도조 소생 |
|
추존왕 환조 소생 |
|
태조 소생 |
|
정종 소생 |
|
태종 소생 |
|
세종 소생 |
|
문종 소생 |
왕세자 홍위(단종) |
단종 소생 |
- |
세조 소생 |
|
추존왕 덕종 소생 |
|
예종 소생 |
|
성종 소생 |
|
연산군 소생 |
|
중종 소생 |
|
인종 소생 |
- |
명종 소생 |
|
선조 소생 |
|
광해군 소생 |
|
추존왕 원종 소생 |
|
인조 소생 |
|
효종 소생 |
왕세자 연(현종) |
현종 소생 |
왕세자 순(숙종) |
숙종 소생 |
|
경종 소생 |
- |
영조 소생 |
|
추존왕 진종 소생 |
정조(양자) |
추존왕 장조 소생 |
|
정조 소생 |
|
순조 소생 |
|
추존왕 문조 소생 |
|
헌종 소생 |
- |
철종 소생 |
|
고종 소생 |
|
순종 소생 |
- |
의민황태자 소생 |
제1대ㆍ태조 | 제10대ㆍ연산군 | 제19대ㆍ숙종 | |
제2대ㆍ정종 | 제11대ㆍ중종 | 제20대ㆍ경종 | |
제3대ㆍ태종 | 제12대ㆍ인종 | 제21대ㆍ영조 | |
제4대ㆍ세종 | 제13대ㆍ명종 | 제22대ㆍ정조 | |
제5대ㆍ문종 | 제14대ㆍ선조 | 제23대ㆍ순조 | |
제6대ㆍ단종 | 제15대ㆍ광해군 | 제24대ㆍ헌종 | |
제7대ㆍ세조 | 제16대ㆍ인조 | 제25대ㆍ철종 | |
제8대ㆍ예종 | 제17대ㆍ효종 | 제26대ㆍ고종 | |
제9대ㆍ성종 | 제18대ㆍ현종 | 제27대ㆍ순종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