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 역적 6인 |
|
---|---|
우원식 | |
![]() | |
국적 | ![]() |
출생일 | 1957년 9월 18일 (67세세) |
출생지 | 서울특별시 성동구 |
병역 | 육군 병장 만기전역 |
의원 선수 | 4 |
의원 대수 | 17, 19, 20, 21 |
지역구 | 노원구 을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경력 | 서울시의회 의원 열린우리당 사무부총장 |
학력 | 경동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토목공학 학사 |
종교 | 개신교 (예장합동) |
우원식1957년 9월 18일 (67세세)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제21대 국회의원(지역구: 노원구 을)이다.
소속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으로 제17, 19, 20, 21대 국회의원이다.
2024년 윤석열 대통령 탄핵 과정을 거치면서 대통령 탄핵의 역적 6인 이름을 올렸다.
생애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경력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논란
국회의장으로서의 역할 망각
우원식은 역대 국회의장들에게 똥칠을 했다. 국회의장이 무소속으로 적을 두는 것은 여야를 가리지 않고 공정하게 중립적으로 의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원식은 자신이 속해 있던 더불어독재당 이재명의 수구가 되어 더불어독재당 소속의원들 보다 더 강성으로 이재명 구하기에 앞장서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불법한 탄핵안 재발의
2024년 12월 우원식은 동일 회기 내에서 폐기된 것은 다시 재발의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안을 '투표불성립'이라며 재발의하여 탄핵안을 통과시켰음으로 원천 무효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논란이 됐던 의결 정족수에 대해 이 법안의 명칭은 "국무총리 한덕수 탄핵안"이라며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한다"고 선언했다. 표결 전부터 이 의결정족수에 대해 여당은 대통령 탄핵소추 기준(3분의 2 이상 찬성)을 적용해야 한다며, 야당은 국무의원 탄핵소추 기준(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적용해야 한다며 대립했다.
우원식은 "헌법은 대통령에 대해서만 가중 의결 정족수를 규정하고 있다"며 "이 안의 탄핵소추 대상자는 헌법에 따라 대통령 권한을 대신하여 행사하는 국무총리"라며 과반수 적용 이유를 밝혔다.
둘러보기
ㄱ |
|
ㄴ ㄷ ㅁ |
|
ㅂ |
|
ㅅ |
|
ㅇ |
안규백 · 신현영 · 안민석 · 안호영 · 양경숙 · 양이원영 · 양기대 · 양향자 · 어기구 · 오기형 · 오영훈 · 오영환 · 우상호 · 우원식 · 위성곤 · 유동수 · 유기홍 · 유정주 · 윤건영 · 윤관석 · 윤영덕 · 윤미향 · 윤영찬 · 윤재갑 · 윤준병 · 윤후덕 · 윤호중 · 이개호 · 이광재 · 이규민 · 이동주 · 이낙연 · 이병훈 · 이상민 · 이상헌 · 이소영 · 이성만 · 이수진(비례) · 이수진(동작을) · 이용빈 · 이용우 · 이용선 · 이원욱 · 이원택 · 이인영 · 이재정 · 이장섭 · 이정문 · 이탄희 · 이학영 · 이형석 · 이해식 · 인재근 · 임오경 · 임종성 · 장경태 · 임호선 |
ㅈ ㅊ |
|
ㅎ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