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사용례)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https://www.unamwiki.org/board/free_view.php?b_idx=1051 '적폐 청산 광풍' 일으킨 文의 내로남불 … 본인 뇌물죄 수사 검사 고발] | *[https://www.unamwiki.org/board/free_view.php?b_idx=1051 '적폐 청산 광풍' 일으킨 文의 내로남불 … 본인 뇌물죄 수사 검사 고발] | ||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770 (종합)이상한 사전투표 결과에도 국민의힘은 無대응] | |||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5&aid=0002945973&date=20191018&type=1&rankingSeq=8&rankingSectionId=100 최순실 옥중편지 "내가 일찍 떠났어야 했는데…朴께 사죄"] | |||
== 신문에 쓰이는 한자 == | == 신문에 쓰이는 한자 == |
2025년 5월 2일 (금) 16:32 기준 최신판
新聞의 漢字
개요
오늘날의 한국어는 일상생활과 출판물에서 한자가 거의 쓰이지 않지만 글의 의미를 간결하게 만들거나 모호성을 줄이기 위해 성씨, 지명, 기관, 단체 등의 약어로서 쓰이고 있다.
아직까지도 사용하는데 한글의 이중적인 의미가 포함된 표현이 많다보니 한문을 사용한 제목 타이틀을 사용할 때도 사용한다.
대체로 진보성향 언론 보다 조중동이나 자유일보, 펜앤드마이크를 비롯한 보수성향 언론에서 한자가 자주 쓰인다.
90년대 까지만 해도 신문에서는 한자를 많이 사용했다. 특히 시대가 오래 전일수록 거의 국한문혼용체였다. 조선일보 등 세로쓰기를 고집했던 곳도 있었다.
사용례
신문에 쓰이는 한자
성씨
숫자
숫자
직업, 신분
지리
국가
해외 지명
국내 지명
기관, 단체, 종교
자주 언급되는 단체
상태, 상황
사물
- 街(가) 길거리
- 感(감) 느낌, 기분
- 工(공) 공업
- 圈(권) ~권, 영역
- 年(년) 년도
- 齡(령) 영토, ~령
- 論(론) 이론
- 料(료) 요금, 가격
- 網(망) 그물, 웹(web)
- 米(미) 쌀
- 法(법) 법
- 病(병) 질병
- 副(부) 부차적인, 부~
- 分(분) 분초, minute
- 不(불, 부) ~이지 않다
- 弗(불) 달러(dollar)
- 史(사) 역사
- 社(사) 회사
- 色(색) 색, 색깔
- 線(선) 선, line, 임계점
- 性(성) 성별
- 時(시) 시간
- 心(심) 마음, 기분
- 案(안) 안건, 아젠다
- 語(어) 언어
- 例(예) 예, 예시
- 屋(옥) 집, 건물
- 用(용) 용도, ~용
- 戰(전) 전쟁
- 電(전) 전기, 전자
- 點(점) 점수
- 店(점) 가게, 상점
- 訂(정) 바로잡다, 정정하다
- 製(제) 제품, ~제
- 層(층) 층수, 계층
- 版(판) version
- 票(표) 표, ballot